건강 정보

여름철 구토와 설사, 복통이 있다면? 이 병을 의심하세요

hanee97 2023. 8. 17. 03:01
반응형

여름철 복통과 설사를 일으키는 장관감염증

최근 고온 다습한 여름철 날씨로 인해 장관감염증 환자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최근 증가하고 있는 장관감염증은 캄필로박터균, 살모넬라균, 장병원성 대장균 감염증이며, 특히 캄필로박터균 감염증이 많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안전하고 건강한 여름을 보내기 위해 개인위생 관리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장관감염증은 어떤 경로로 감염되며 증상과 치료 방법, 그리고 어떻게 예방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장관감염증이란?

장관감염증은 병원성 세균, 바이러스, 원충으로 오염된 물이나 식품을 섭취함으로써 주로 구토, 설사, 복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며, 제4급 법정 감염병으로 분류됩니다.

 

장관감염증의 발생 경로

캄필로박터균 (ampylobacter jejuni, Campylobacter coli)

  • 주요 감염원 : 비살균 유제품과 가금류
  • 생닭의 표면에 캄플로박터균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생닭을 다룰 때는 다른 식재료와 분리하여 마지막에 세척하고, 씻은 물이 다른 식재료에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손질 후에는 꼭 흐르는 물로 손을 씻고, 생닭 보관 시에는 밀폐용기에 넣어 냉장고 하단에 보관하여 다른 식재료에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살모렐라균 (non-typhoidal Salmonella)

  • 주요 감염원 : 계란, 우유, 육류 및 가공품
  • 닭의 내장이나 계란, 그리고 계란 껍질 표면에 살모넬라균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계란을 만진 후에는 꼭 손을 씻고, 껍질이 손상되지 않은 계란을 선택하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계란은 냉장 보관을 하되, 껍질을 깬 후에는 가능한 한 빨리 충분히 가열하여 조리해야 합니다.

장병원성대장균 (Enteropathogenic Escherichia coli)

  • 주요 감염원 : 익히지 않은 육류 및 채소
  • 여름철에는 육류나 채소를 생으로 먹는 것 대신 충분히 익혀 먹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장병원성 대장균이 도축 과정 중에 육류를 오염시키거나 오염된 물로 채소를 오염시키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식당 및 급식소에서 집단 발생주의 및 신고

식당이나 단체 급식소에서는 많은 사람에게 음식을 제공하기 때문에 장관감염증 예방에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

식당이나 급식소에서는 생선, 육류, 채소 등 식품별 조리 도구를 구분하여 사용하고, 조리 위생 수칙을 반드시 준수해야 합니다.

만약 같은 시간과 장소에서 음식물을 섭취한 사람 중 2명 이상이 장관감염증 증상(구토, 설사, 복통 등)을 보인다면, 집단 발생으로 간주하고 즉시 가까운 보건소에 신고해야 합니다.

 

장관감염증 증상

캄필로박터균 감염증

  • 발열, 권태감이 설사 1~2일 전부터 발현
  • 설사, 혈변, 복통, 권태감, 발열, 오심, 구토 등의 증상

살모렐라균 감염증

  • 발열, 두통, 오심, 구토, 복통, 설사 등의 위장 증상

장병원성대장균 감염증

  • 구토, 설사, 복통, 발열 등의 증상
  • 어린 소아의 경우 중증의 수양성 설사 증상

장관감염증 치료 방법

장관감염증의 치료는 증상의 심각성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대부분은 휴식을 통해 자연적으로 회복됩니다.

그러나 만약 설사가 계속되는 경우에는 경구나 정맥을 통해 수분을 충분히 보충해야 합니다. 수분 섭취를 통해 탈수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면역체계가 약해진 환자나 노약자의 경우 항생제를 투여하여 치료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장관감염증 예방 수칙

장관감염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개인위생 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식품 안전에 주의하고 손 씻기 등 중요한 예방 수칙을 지켜야 합니다. 아래 예방 수칙을 준수함으로써, 장관감염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 씻기
  • 물은 끓여 마시거나 생수 등 병에 포장된 음료수 마시기
  • 음식 충분히 익혀 먹기 (중심 온도 75℃(어패류는 85℃)로 1분 이상 익히기)
  • 채소, 과일은 깨끗한 물에 씻거나 껍질 벗겨 먹기
  • 설사 증상이 있는 경우 음식 조리 및 준비하지 않기
  • 생선, 고기, 채소 도마는 분리 사용하고, 조리 후 칼, 도마 소독하기

 

수인성 식품매개 감염병 예방 수칙 (이미지 : 질병관리청)

반응형